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혈압약 꼭 먹어야 하나요?

by Golden Oscar 2025. 5. 29.

다양한 색상의 알약이 보라색 배경 위에 놓여 있는 모습 via Unsplash
다양한 색상의 알약이 보라색 배경 위에 놓여 있는 모습 via Unsplash

 

 

혈압이 조금 높다는 진단을 받은 순간, 누구나 한 번쯤 이런 고민을 합니다.

“당장 약을 먹어야 할까?”
“운동이나 식단으로 조절해도 괜찮을까?”
“혈압약을 먹으면 평생 먹어야 하나요?”


이 글에서는 고혈압 진단 기준, 약 복용 시작 시점, 약 없이 관리 가능한 경우, 그리고 꼭 기억해야 할 주의사항까지 전문가 권고 기준을 바탕으로 쉽게 풀어드립니다.


🔍 고혈압의 기준은?

세계보건기구(WHO)와 대한고혈압학회 기준에 따르면:

  • 정상 혈압: 120/80 mmHg 미만
  • 고혈압 전단계 (주의): 120139 / 8089
  • 고혈압 1기: 140159 / 9099
  • 고혈압 2기: 160 이상 / 100 이상

🟡 혈압이 지속적으로 140/90 이상일 경우, 대부분 약물 치료가 권장됩니다.


💊 꼭 약을 먹어야 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은 조건 중 하나라도 해당된다면 혈압약 복용이 강력히 권장됩니다:

  1. 3회 이상 연속된 고혈압 수치 (140/90↑)
  2. 가족력이 강한 경우 (부모가 고혈압/뇌졸중/심장병 이력)
  3. 당뇨, 고지혈증, 심장질환 등 동반 질환이 있을 때
  4. 신장 기능 저하
  5. 이미 뇌졸중·심근경색 등의 이력이 있을 경우

👉 이럴 경우에는 생활습관 교정만으로는 늦을 수 있고, 약물로 먼저 혈압을 안정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 생활 습관으로 조절 가능한 경우는?

약을 바로 복용하지 않고 생활습관 개선으로 혈압을 관리해볼 수 있는 사람도 있습니다:

  • 고혈압 전단계 (130대/80대)
  • 젊은 층 (30~40대)에서 특별한 기저 질환이 없는 경우
  • 체중 증가, 염분 섭취 등 명확한 원인이 있는 경우

 

이때는 다음과 같은 습관이 중요합니다:

 

✔️ 나트륨 줄이기 (하루 5g 미만)
✔️ 주 3회 이상 유산소 운동 (30분 이상)
✔️ 체중 감량 (특히 복부비만)
✔️ 술, 담배 줄이기
✔️ 가공식품 줄이고 채소 섭취 늘리기


❗ 약을 먹게 된다면 꼭 알아야 할 3가지

 

1.  약 복용은 대부분 ‘장기적’입니다

 

혈압약은 일시적으로 먹는 감기약과 다릅니다.
중단하면 다시 혈압이 오르므로 꾸준한 복용이 기본입니다.

2.  복용 중단은 절대 ‘임의로’ 하지 마세요

부작용이나 효과에 대한 의문이 생길 경우,
의사와 상담 후 조절해야 합니다.

3.  혈압약 복용과 함께, 생활 습관도 병행이 중요합니다

약을 먹더라도 염분 섭취 과다, 운동 부족이 계속되면 효과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  마무리의 말

“혈압약은 먹어야 할까요?”라는 질문보다
더 중요한 질문은 이겁니다.

 

“나는 내 혈압 상태를 정확히 알고 있나요?”

 

 

혈압약은 필요 없는 사람에게 과한 것이고,
반대로 필요한 사람에게는 생명을 지키는 안전망입니다.

 

✅ 내 혈압을 정확히 알고
✅ 지금 내 상태에 맞는 선택을 하며
✅ 약과 습관을 함께 다스리는 자세가 가장 중요합니다.



 

👑 함께 읽으면 좋은 글


<